국민연금 보험료율은 현재 총 9%(직장인: 회사 4.5% + 본인 4.5%)이며, 산정 기준이 되는 기준소득월액은 최저 40만 원~최고 637만 원 구간을 적용합니다(’25.7~’26.6). 아래에서 원리→표→사례→꿀팁 순서로 쉽고 빠르게 정리했습니다.
국민연금 보험료율 계산 원리
국민연금 보험료율 계산 공식
- 총 보험료 = 기준소득월액 × 9%
- 직장가입자: 회사 4.5% + 근로자 4.5%로 절반씩 분담
- 지역/임의(계속)가입자: 9% 전액 본인 부담
기준소득월액은 급여(과세분) 기반으로 매년 7월 조정되며, 구간 밖이면 상·하한을 적용합니다.
상·하한 구간(’25.7~’26.6 적용)
- 하한: 400,000원 → 최소 보험료 36,000원(9%)
- 상한: 6,370,000원 → 최대 총보험료 573,300원(9%)
- 직장가입자 최대 개인부담: 286,650원(상한 × 4.5%)
가입자 유형별 이해
- 직장가입자: 회사 절반 부담, 입사·퇴사·연봉변경 시 자동 반영
- 지역/임의: 본인이 기준소득월액 신고, 납부유예·분할 납부 등 선택 가능
- 임의계속: 퇴직 후에도 기존 수준으로 연금가입 유지할 수 있는 선택
국민연금 보험료율 지원(예: 소규모 사업장 등)
- 일정 기준 이하 소득자는 본인부담의 50%까지 지원 가능(구간 초과 시 정액 지원)
- 예) 기준소득월액 1,000,000원 → 월보험료 90,000원, 지원 45,000원
- 예) 1,030,000원 → 월보험료 92,700원, 정액 46,350원 지원
사업장/근로자 조건에 따라 대상·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 실제 신청 전 안내문을 확인하세요.
소득별 부담액 국민연금 보험료율표(예시)
직장가입자(회사 4.5% + 근로자 4.5%)
보수월액(기준소득월액) | 총 보험료(9%) | 회사 부담(4.5%) | 근로자 부담(4.5%) |
---|---|---|---|
2,000,000원 | 180,000원 | 90,000원 | 90,000원 |
3,000,000원 | 270,000원 | 135,000원 | 135,000원 |
4,000,000원 | 360,000원 | 180,000원 | 180,000원 |
5,000,000원 | 450,000원 | 225,000원 | 225,000원 |
6,370,000원(상한) | 573,300원 | 286,650원 | 286,650원 |
상·하한 적용기간: 2025.07.01 ~ 2026.06.30 |
지역/임의가입자(전액 본인 부담 9%)
기준소득월액 | 월 보험료(9%) | 비고 |
---|---|---|
400,000원(하한) | 36,000원 | 최소 금액 |
1,000,000원 | 90,000원 | – |
2,000,000원 | 180,000원 | – |
3,000,000원 | 270,000원 | – |
6,370,000원(상한) | 573,300원 | 최대 금액 |
상·하한 적용기간: 2025.07.01 ~ 2026.06.30 |
체크포인트: 매년 7월 조정 & 향후 인상 로드맵
왜 7월에 금액이 바뀌나요?
- 전년도 소득과 물가·임금 흐름을 반영해 상·하한 구간이 업데이트됩니다.
- 구간이 바뀌면 고·저소득자 모두 월 보험료가 일정 폭 변동될 수 있습니다.
향후 국민연금 보험료율(총 9% → 13%) 단계적 인상
- 시작 시점: 2026년 1월 예정
- 방식: 매년 0.5%p씩 인상, 2033년 13% 도달
- 직장가입자는 법정 분담 구조에 따라 회사·근로자 부담이 함께 조정됩니다.
세부 적용은 관련 고시·안내를 확인해 반영하세요.
간단 계산 예시
- 월급 3,000,000원(직장): 총 270,000원(9%), 회사 135,000 + 본인 135,000
- 상한 6,370,000원 초과 소득(직장): 총 573,300원, 개인부담 286,650원
- 기준소득월액 1,000,000원(지역): 월 90,000원(전액 본인)
자주 묻는 질문
Q1. 지금 보험료율은 몇 %인가요?
- 현재는 총 9%입니다. 직장인은 회사 4.5% + 본인 4.5%, 지역/임의는 9% 전액 본인입니다.
- 상한(6,370,000원)을 넘어서는 소득은 계산에서 제외되어 상한까지만 반영됩니다.
- 하한(400,000원)을 적용해 최소 36,000원을 납부합니다.
- 일정 요건 충족 시 본인부담의 50% 또는 정액(46,350원) 등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6년부터 매년 0.5%p씩 올라 2033년에 13% 도달 예정입니다. 매년 고시를 확인해 주세요.
핵심 요약 & 꿀팁
핵심 1총 9% 계산, 직장인은 회사와 1:1 분담
핵심 2’25.7~’26.6 상·하한: 40만~637만
핵심 3상한 적용 시 개인 최대 286,650원
핵심 4’26년부터 매년 0.5%p 인상 예정
본 문서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입니다. 실제 금액은 매년 고시·안내 기준을 확인해 반영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