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보험료율 계산, 내 월급에서 얼마? 소득별 부담액·요율표 한 번에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현재 총 9%(직장인: 회사 4.5% + 본인 4.5%)이며, 산정 기준이 되는 기준소득월액최저 40만 원~최고 637만 원 구간을 적용합니다(’25.7~’26.6). 아래에서 원리→표→사례→꿀팁 순서로 쉽고 빠르게 정리했습니다.

국민연금 보험료율 계산 원리

국민연금 보험료율 계산 공식
  • 총 보험료 = 기준소득월액 × 9%
  • 직장가입자: 회사 4.5% + 근로자 4.5%로 절반씩 분담
  • 지역/임의(계속)가입자: 9% 전액 본인 부담

기준소득월액은 급여(과세분) 기반으로 매년 7월 조정되며, 구간 밖이면 상·하한을 적용합니다.

상·하한 구간(’25.7~’26.6 적용)
  • 하한: 400,000원 → 최소 보험료 36,000원(9%)
  • 상한: 6,370,000원 → 최대 총보험료 573,300원(9%)
  • 직장가입자 최대 개인부담: 286,650원(상한 × 4.5%)
가입자 유형별 이해
  • 직장가입자: 회사 절반 부담, 입사·퇴사·연봉변경 시 자동 반영
  • 지역/임의: 본인이 기준소득월액 신고, 납부유예·분할 납부 등 선택 가능
  • 임의계속: 퇴직 후에도 기존 수준으로 연금가입 유지할 수 있는 선택
국민연금 보험료율 지원(예: 소규모 사업장 등)
  • 일정 기준 이하 소득자는 본인부담의 50%까지 지원 가능(구간 초과 시 정액 지원)
  • 예) 기준소득월액 1,000,000원 → 월보험료 90,000원, 지원 45,000원
  • 예) 1,030,000원 → 월보험료 92,700원, 정액 46,350원 지원

사업장/근로자 조건에 따라 대상·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 실제 신청 전 안내문을 확인하세요.

소득별 부담액 국민연금 보험료율표(예시)

직장가입자(회사 4.5% + 근로자 4.5%)
보수월액(기준소득월액) 총 보험료(9%) 회사 부담(4.5%) 근로자 부담(4.5%)
2,000,000원180,000원90,000원90,000원
3,000,000원270,000원135,000원135,000원
4,000,000원360,000원180,000원180,000원
5,000,000원450,000원225,000원225,000원
6,370,000원(상한)573,300원286,650원286,650원
상·하한 적용기간: 2025.07.01 ~ 2026.06.30
지역/임의가입자(전액 본인 부담 9%)
기준소득월액 월 보험료(9%) 비고
400,000원(하한)36,000원최소 금액
1,000,000원90,000원
2,000,000원180,000원
3,000,000원270,000원
6,370,000원(상한)573,300원최대 금액
상·하한 적용기간: 2025.07.01 ~ 2026.06.30

체크포인트: 매년 7월 조정 & 향후 인상 로드맵

왜 7월에 금액이 바뀌나요?
  • 전년도 소득과 물가·임금 흐름을 반영해 상·하한 구간이 업데이트됩니다.
  • 구간이 바뀌면 고·저소득자 모두 월 보험료가 일정 폭 변동될 수 있습니다.
향후 국민연금 보험료율(총 9% → 13%) 단계적 인상
  • 시작 시점: 2026년 1월 예정
  • 방식: 매년 0.5%p씩 인상, 2033년 13% 도달
  • 직장가입자는 법정 분담 구조에 따라 회사·근로자 부담이 함께 조정됩니다.

세부 적용은 관련 고시·안내를 확인해 반영하세요.

간단 계산 예시
  • 월급 3,000,000원(직장): 총 270,000원(9%), 회사 135,000 + 본인 135,000
  • 상한 6,370,000원 초과 소득(직장): 총 573,300원, 개인부담 286,650원
  • 기준소득월액 1,000,000원(지역): 월 90,000원(전액 본인)

자주 묻는 질문

Q1. 지금 보험료율은 몇 %인가요?
  • 현재는 총 9%입니다. 직장인은 회사 4.5% + 본인 4.5%, 지역/임의는 9% 전액 본인입니다.
Q2. 왜 제 월급이 높은데도 더 못 내나요?
  • 상한(6,370,000원)을 넘어서는 소득은 계산에서 제외되어 상한까지만 반영됩니다.
Q3. 최저임금보다 적게 벌면 얼마나 내나요?
  • 하한(400,000원)을 적용해 최소 36,000원을 납부합니다.
Q4. 저소득 근로자인데 지원이 있나요?
  • 일정 요건 충족 시 본인부담의 50% 또는 정액(46,350원) 등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Q5. 보험료율이 곧 오른다던데 언제부터인가요?
  • 2026년부터 매년 0.5%p씩 올라 2033년에 13% 도달 예정입니다. 매년 고시를 확인해 주세요.

핵심 요약 & 꿀팁

핵심 1총 9% 계산, 직장인은 회사와 1:1 분담
핵심 2’25.7~’26.6 상·하한: 40만~637만
핵심 3상한 적용 시 개인 최대 286,650원
핵심 4’26년부터 매년 0.5%p 인상 예정

본 문서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입니다. 실제 금액은 매년 고시·안내 기준을 확인해 반영하세요.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